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는 1810년 빌헬름 폰 훔볼트의 주도로 설립된 독일의 명문 대학이다. 나치 시대 폐교되었다가 재개교, 냉전 시기 동독에 위치하며 훔볼트 대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9개의 학부와 다양한 부속 연구소를 갖추고 있으며, '훔볼트 모델'로 불리는 연구와 교육의 통합을 강조하는 교육 방식을 확립했다. 현재는 세 개의 캠퍼스로 운영되며, 뛰어난 연구 성과와 교육의 질을 인정받아 세계적인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 존 폰 노이만
헝가리 출신의 존 폰 노이만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폰 노이만 아키텍처는 현대 컴퓨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고 게임 이론의 창시자로도 알려진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 피터 디바이
피터 디바이는 분자 구조 및 물질의 물리적 성질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화학자로, 노벨 화학상 수상, 데바이 단위, 데바이 모델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나치 독일 시대 행적 논란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연구를 지속하며 현대 화학 및 물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1810년 개교 - 카롤린스카 연구소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스웨덴 국왕 카를 13세의 명령으로 1810년에 설립된 의학 및 생의학 연구 중심 기관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선정 기관이자 암, 심혈관 질환, 감염병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는 스웨덴 최대 규모의 의과대학이다. - 1810년 개교 - 바르샤바 음악원
바르샤바 음악원은 폴란드 음악 교육의 중심지로서, 음악 학교에서 시작하여 쇼팽의 스승인 유제프 엘스너에 의해 발전했으며, 쇼팽 또한 수학한 유서 깊은 음악 교육 기관이다. - 알렉산더 폰 훔볼트 - 훔볼트펭귄
훔볼트펭귄은 남아메리카 훔볼트 해류 지역에 서식하는 중형 펭귄으로 검은 머리, 흰 배, 검은 가슴띠가 특징이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알렉산더 폰 훔볼트 - 훔볼트 해류
훔볼트 해류는 남아메리카 서부 해안을 따라 흐르는 한류 해류로, 남극해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며 풍부한 영양 염류를 용승시켜 세계적으로 생산성이 높은 해양 생태계를 이루어 어업 자원이 되지만, 기후 변화와 남획으로 수산 자원 관리가 중요한 과제이다.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훔볼트 대학교 베를린 |
독일어 명칭 |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
라틴어 명칭 | Universitas Humboldtiana Berolinensis |
다른 이름 | 베를린 대학교 프리드리히-빌헬름 대학교 베를린 운터 덴 린덴 대학교 |
모토 (라틴어) | Universitas litterarum |
모토 (한국어) | 학문의 단체 |
설립일 | 1810년 10월 15일 |
유형 | 공립 대학교 |
예산 | 5억 3600만 유로 (2022년) |
총장 | 율리아 폰 블뤼멘탈 |
교직원 수 | 2,403명 |
행정 직원 수 | 1,516명 |
학생 수 | 32,553명 |
학부생 수 | 18,712명 |
대학원생 수 | 10,881명 |
박사 과정 학생 수 | 2,951명 |
위치 | 베를린 |
국가 | 독일 |
캠퍼스 | 도시 및 교외 |
노벨상 수상자 | 57명 (2020년 기준) |
웹사이트 | 훔볼트 대학교 베를린 공식 웹사이트 |
로고 | Humbold Universität Logo.png |
학교 색상 | 파란색 하얀색 |
소속 | |
소속 | 독일 대학 우수 이니셔티브 UNICA U15 아토미움 문화 EUA IAU FGU 에라스무스 |
2. 역사
1933년 나치 집권으로 베를린 대학교는 나치즘 교육의 장이 되었고, 직업 공무원직 복원법으로 인해 많은 유대인 교수와 직원들이 해고되었다.[28] 1933년 5월 10일에는 대학교 도서관의 책 2만 권이 오페른플라츠 광장(현재 베벨플라츠)에서 소각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기리는 기념물인 ''빈 도서관''이 현재 광장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2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를린 대학교는 1946년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다시 개교하였으나, 냉전과 함께 1948년 서베를린에 베를린 자유대학이 별도로 개교하였다. 1949년 동독의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은 베를린 대학교를 훔볼트 대학교로 개칭하였으며, 이 이름은 1989년 동독 붕괴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다.[29]
냉전 기간 동안 훔볼트 대학교는 동베를린에 위치하며 독일 주둔 소련군 사령부의 탄압을 받았다. 자유주의 및 사회민주주의 학생들은 박해를 받았고, 학문의 자유는 억압되었다.[29] 이에 대한 저항으로 많은 학생과 교직원들이 체포되거나 처형되었다.[29] 베를린 봉쇄 동안 서베를린에 설립된 베를린 자유 대학교는 서구의 지원을 받으며 훔볼트 대학교의 전통과 교수진을 이어받았다.[29]
1989년 동독 붕괴 이후, 훔볼트 대학교는 서독의 교수들을 채용하고 서독 대학들과 같은 교육과정을 수립하였다.[31][32]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대학 구조가 급진적으로 재편되었고, 동독 시절 교수진은 대거 교체되었다.[32][33]
2. 1. 설립 배경 (19세기 초)
19세기 초, 프로이센 왕국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통치 아래 나폴레옹 군과의 충돌로 인해 국가적 위기에 직면했다(1806년-1807년).[17]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슈타인과 할덴베르크의 정치 개혁, 그나이제나우 등에 의한 군제 개혁 등 근대화를 위한 다양한 개혁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개혁의 일환으로, 교육의 근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대두되었다.이러한 배경 속에서, 자유주의적 프로이센 철학자이자 언어학자인 빌헬름 폰 훔볼트의 주도로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1809년 8월 16일에 베를린 대학교를 설립하였다.[17] 이는 브란덴부르크 지역 최초의 대학 설립이었다. 훔볼트는 대학교 설립 과정에서 자신의 교육 이념에 대한 큰 저항에 직면했지만, 결국 그의 뜻대로 대학교가 설립되었다.[1]
2. 2. 초기 발전과 훔볼트 모델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는 1809년 8월 16일 프로이센의 자유주의 철학자이자 언어학자인 빌헬름 폰 훔볼트의 주도로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 의해 설립되었다.[1] 1810년 10월 6일 최초의 학생들이 입학하였고, 10월 10일에 256명의 학생과 52명의 강사로 첫 학기가 시작되었다.[11] 베를린 대학교는 10월 15일을 개교일로 기념한다.[1] 초대 총장은 테오도르 슈말츠였다.
1828년부터 1945년까지 이 학교는 설립자를 기리는 의미에서 "베를린 왕립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로 명명되었다.[19]
이 대학교는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등 독일의 위대한 사상가들을 배출했다. 또한,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하인리히 하이네 등도 이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독일 연구 중심 대학교의 구조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와 같은 기관의 모델이 되었다.[21] 특히, 연구와 교육을 결합하는 '훔볼트 모델'은 유럽의 다른 대학들에 큰 영향을 주었다.[21]
19세기에는 알렉산더 폰 훔볼트가 새로운 학문을 장려하였고, 아우구스트 빌헬름 호프만(화학자), 헤르만 폰 헬름홀츠(물리학자) 등 유명한 연구자들이 베를린 대학교의 과학적 명성에 기여했다.
초기 주요 교수진은 다음과 같다:
이름 | 분야 | 재직 기간 | 주요 업적 |
---|---|---|---|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 철학 | 초대 총장 | 주관적 관념론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 신학 |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철학 | 1830년 총장 | 절대 관념론 |
프리드리히 칼 폰 자비니 | 법학 | 1812-1814년 총장 | 낭만주의 법 이론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철학 | 1819년 강사 | 비관주의 철학 |
프리드리히 셸링 | 철학 | 객관적 관념론 |
2. 3. 확장과 통합 (19세기 후반)
설립자인 빌헬름의 동생인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새로운 학문을 장려했다. 19세기 후반부에 현대적인 연구 시설이 건설되면서 자연 과학 교육이 발전하였다. 아우구스트 빌헬름 호프만(화학자), 헤르만 폰 헬름홀츠(물리학자), 에른스트 에두아르트 쿠머, 레오폴트 크로네커,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수학자들), 요하네스 페터 뮐러, 에밀 뒤부아레이몽, 알브레히트 폰 그라페, 루돌프 피르호, 로베르트 코흐(의사들)과 같은 유명한 연구자들이 베를린 대학교의 과학적 명성에 기여했다.[58]확장 기간 동안, 이 대학교는 베를린의 다른 이전의 독립적인 대학들을 점진적으로 통합했다. 샤리테, 펩피니에르, 콜레기움 메디코-키르르기쿰이 대표적인 예이다. 1710년, 프리드리히 1세 국왕은 도시 관문에 흑사병을 위한 검역소를 건설했는데, 1727년 "병사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에 의해 "Es soll das Haus die Charité heißen"(샤리테[프랑스어로 '자선'을 의미함]라고 불리게 될 것이다)로 개명되었다.[59] 1829년, 이 장소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의 의학 캠퍼스가 되었고, 1927년 더 현대적인 대학 병원이 건설될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했다.
1810년에 설립된 자연사 컬렉션은 1889년에 별도의 건물이 필요하게 되어 Museum für Naturkunde이 되었다. 1790년에 설립되어 대학교에 흡수된 기존의 티에라르츠나이 학교는 1934년 수의학 학부의 기반을 형성했다. 1881년에 설립된 (Landwirtschaftliche Hochschule Berlin)는 대학교의 농업 학부와 제휴했다.
2. 4. 나치 시대 (1933-1945)
1933년 나치가 집권하면서, 베를린 대학교는 다른 모든 독일 대학교들과 마찬가지로 나치 정권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직업 공무원직 복원법(독일어 "Gesetz zur Wiederherstellung des Berufsbeamtentums")으로 인해 1933년부터 1934년까지 250명의 유대인 교수와 직원들이 대학교에서 해고되었고, 많은 박사 학위가 취소되었다. 학생들과 학자들, 그리고 나치의 다른 정치적 반대자들은 대학교에서 쫓겨났고, 종종 강제 추방당했다. 이 기간 동안 직원의 거의 3분의 1이 나치에 의해 해고되었다.[28]1933년 5월 10일, 대학교 도서관에서 "퇴폐 예술가"와 정권 반대자들의 책 약 2만 권이 소각될 목적으로 오페른플라츠 광장(현재 베벨플라츠)으로 옮겨졌다. 이 광장에서 SA가 보호하는 가운데 선전부 장관 요제프 괴벨스의 연설과 함께 책들이 불태워졌다. 이 비극적인 사건을 기리는 기념물인 ''빈 도서관''이 현재 광장 중앙에 있다. 이 기념물은 포장 도로에 매립된 유리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만 권의 책을 위한 빈 책꽂이가 있는 지하의 큰 흰색 방을 들여다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위대한 독일계 유대인 작가 하인리히 하이네의 1820년 작품에서 가져온 서문이 새겨진 명판이 있다.[28]
"이는 단지 전주곡일 뿐이다. 책을 태우는 곳에서는, 궁극적으로 사람들도 태운다."
2. 5. 분단과 냉전 시대 (1945-1990)
1933년 나치 집권으로 나치즘 교육의 장이 되기도 했던 베를린 대학은 나치 독일의 패망과 함께 폐교되었다가 1946년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다시 개교하였다. 그러나 냉전과 함께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서독의 서베를린에서 1948년 베를린 자유대학이 별도로 개교하였다. 이후 베를린 대학은 1949년 동독의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에 의해 훔볼트 대학교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989년 동독 붕괴 이후에도 이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29]냉전 기간 동안, 이 대학교는 동베를린에 위치해 있었다. 1946년 베를린 대학교로 재개교했지만, 독일 주둔 소련군 사령부의 탄압, 특히 자유주의 및 사회민주주의 학생들의 박해에 직면했다. 소련 점령군은 거의 즉시 비공산주의자들을 박해하고 대학교에서의 학문의 자유를 억압하기 시작하여, 강의는 사회주의 통일당 관리들의 승인을 받아야 했고, 식당에는 소련 선전 방송이 흘러나왔다. 이는 학생들과 교수진 내에서 강력한 항의로 이어졌다. NKVD 비밀경찰은 1947년 3월 여러 학생들을 체포했다. 베를린-리히텐베르크의 소련 군사 재판소는 학생들이 "베를린 대학교의 저항 운동" 결성과 스파이 활동에 연루되었다고 판결하고, 강제 노동 25년형을 선고했다.[29]
1945년부터 1948년까지 다른 18명의 학생과 교사가 체포되거나 납치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수주 동안 실종되었으며, 일부는 소련으로 끌려가 처형되었다. 소련의 박해를 받은 많은 학생들은 소련이 부과한 공산주의 독재에 대한 자유주의적 또는 사회민주주의적 저항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독일 공산당은 바이마르 공화국 초기부터 사회민주주의자들을 주요 적대 세력으로 간주해 왔다.[29]
베를린 봉쇄 동안, 미국이 지원하는 베를린 자유 대학교가 1948년 서베를린에 서구의 사실상 후계 대학교로 설립되었고, 구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의 전통과 교수진을 유지했다. 자유 대학교라는 이름은 서베를린이 서구 "자유 세계"의 일부라는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일반적인 "비자유" 공산주의 세계와 특히 동베를린의 "비자유" 공산주의 통제 대학교와 대조된다.[29]
역사적인 이름인 베를린 왕립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는 군주제적 기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1949년 공식적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소련 점령 당국은 공산주의 지도자의 이름을 따서 학교 이름을 짓기를 선호했지만, 대학 당국은 두 훔볼트 형제의 이름을 딴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로 이름을 지을 수 있었다. 이 이름은 서구에서도 논란이 없었고, 훔볼트 교육 모델과 관련된 훔볼트라는 유명한 이름을 활용했다.[30]
독일 패전 후 베를린이 연합국 4개국에 의해 분할 점령되면서, 훔볼트 대학교는 소련 점령 지역인 동베를린에 위치하게 되었다. 소련군 점령 당국이 대학 통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이에 반발하는 학생들과 동조하는 교수 및 연구원들은 막스 플랑크 연구소 등의 협력을 얻어 1948년 베를린 서베를린의 달렘 지역에 새로운 대학 운영을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베를린 자유 대학교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동베를린 쪽에 위치하게 되었고, 1949년에 왕정을 싫어하는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에서 훔볼트 대학교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독일 민주 공화국(DDR, 동독) 붕괴까지는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의 엄격한 사상 통제하에 놓였다. 대학 캠퍼스에서 민주적인 반체제 세력의 확장을 막기 위해 학생들은 당의 방침에 대한 복종도에 따라 선발되었다. 그 때문인지 학생들과 학자들은 1989년 민주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거의 담당하지 못했고, 독일 재통일 직전인 1990년 시점에서조차 SED 전 당원이자 슈타지(Stasi) 스파이라는 소문이 있는 하인리히 핀크를 총장으로 선출할 정도였다.
2. 6. 통일 이후 (1990-현재)
1989년 동독 붕괴 이후 베를린 대학은 서독의 많은 교수들을 채용하고 서독의 다른 대학들과 같은 교육과정을 수립하였다.[31][32] 독일 재통일 이후, 대학은 서독 교수들이 주재하는 구조 및 임명 위원회에 따라 급진적으로 재구조화되었다. 사회 과학 및 인문학과의 경우, 교수진은 "청산" 과정을 거쳤는데, 이 과정에서 직원들의 계약이 해지되고, 주로 서독 출신의 새로운 학자들에게 자리가 제공되었다. 고령의 교수들에게는 조기 퇴직이 제안되었다.[32][33] 동독 고등 교육 시스템에는 상임 조교수, 강사 및 기타 중간급 학문직이 서독보다 훨씬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통일 후, 이러한 직책은 서독 시스템과의 일관성을 위해 폐지되거나 임시직으로 전환되었다.[34] 그 결과, 1998년 훔볼트 대학교의 중간급 학자 중 10%만이 직책을 유지했다.[32] 이러한 변화를 통해 대학의 동유럽 기관과의 연구 및 교류 연계는 유지되고 안정되었다.[31]오늘날 훔볼트 대학교는 서독 대학 모델을 따르는 주립 대학교이며, 2014년 기준 학생 수는 36,986명(그중 외국인 학생은 4,662명 이상)으로, 베를린 자유 대학교와 같은 유형이다.
훔볼트 대학교는 카푸스 미테, 카푸스 노르트, 카푸스 아들러스호프의 세 캠퍼스로 구성되어 있다. 본관은 운터 덴 린덴 거리 중심부에 위치하며 카푸스 미테의 중심이다. 이 건물은 프리드리히 2세 국왕이 자신의 동생 프로이센의 헨리 왕자를 위해 건립했다. 모든 인문학 연구소는 법학과, 경영경제학과와 함께 본관 주변에 있다. 카푸스 노르트는 본관 북쪽, 베를린 중앙역 근처에 있으며, 대학 병원인 샤리테를 포함한 생명 과학 학과의 본거지이다. 자연 과학과 컴퓨터 과학, 수학은 베를린 남동부의 카푸스 아들러스호프에 있다.
3. 캠퍼스
훔볼트 대학교는 베를린 자유 대학교와 같은 유형의 주립 대학교이며, 많은 학생 수를 보유하고 있다. 이 대학교는 미테(Mitte), 노르트(Nord), 아들러스호프(Adlershof)의 세 캠퍼스로 구성되어 있다.
본관은 운터 덴 린덴 거리 중심부에 위치하며 미테 캠퍼스의 중심이다. 이 건물은 프리드리히 2세 국왕이 자신의 동생 프로이센의 헨리 왕자를 위해 건립했다. 모든 인문학 연구소는 법학과, 경영경제학과와 함께 본관 주변에 위치해 있다.
노르트 캠퍼스는 본관 북쪽, 베를린 중앙역 근처에 위치하며, 대학 병원인 샤리테를 포함한 생명 과학 학과의 본거지이다. 자연 과학과 컴퓨터 과학, 수학은 베를린 남동부의 아들러스호프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3. 1. 미테 캠퍼스 (Campus Mitte)
훔볼트 대학교 본관은 베를린 역사 중심지의 운터덴린덴 거리에 있는 프린츠 하인리히 궁전이다. 1748년부터 1753년까지 요한 바우만이 프로이센의 하인리히 왕자를 위해 바로크 양식으로 설계하여 건설했다. 1809년, 이전의 프로이센 왕궁은 대학교 건물로 개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폭격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1949년부터 1962년까지 재건되었다.[15]1967년, 파괴된 포츠담 시티 궁전의 조각상 8개가 대학교 건물 측면에 설치되었다. 2013년 브란덴부르크주 의회로 재건된 포츠담 시티 궁전으로 조각상을 반환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가 현재 진행 중이다.[16]

중앙캠퍼스(Campus Mitte)는 훔볼트 대학교(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의 세 캠퍼스 중 가장 오래된 캠퍼스로, 법학부, 인문학부, 사회학부, 경제학부 등 거의 모든 인문계열 학부의 건물과 연구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미테 캠퍼스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베를린 미테 지역에 위치하며, 베를린 국립 오페라극장(Staatsoper Unter den Linden), 베벨 광장(Bebelplatz), 겐다르멘마르크트(Gendarmenmarkt), 브란덴부르크 문(Brandenburger Tor), 박물관 섬(Museumsinsel) 등 주요 관광지와 매우 가깝다. 캠퍼스 내에는 학생 서비스 센터(Studierenden-Service-Center)와 대학 도서관도 있다.
본관은 운터 덴 린덴 거리 중심부에 있으며, 미테 캠퍼스의 중심이다. 이 건물은 프리드리히 2세 국왕이 자신의 동생 프로이센의 헨리 왕자를 위해 건립했다. 모든 인문학 연구소는 법학과, 경영경제학과와 함께 본관 주변에 위치해 있다.
3. 2. 노르트 캠퍼스 (Campus Nord)
훔볼트 대학교의 노르트 캠퍼스(Campus Nord)는 베를린 중앙역 근처, 본관 북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생명 과학 학과의 중심지이다. 특히, 대학 병원인 샤리테가 이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31]
이 캠퍼스에는 농학부, 원예학과, 생물학과, 아시아·아프리카학 연구 시설이 있으며, 베를린 자유 대학교와의 공동 시설도 운영되고 있다. 유럽 최대 규모의 대학 병원인 샤리테 베를린 대학병원과 독일 최대 자연사 박물관인 훔볼트 박물관도 이 캠퍼스에 있다.[31]

3. 3. 아들러스호프 캠퍼스 (Campus Adlershof)
이학부의 연구 기관은 주로 아들러스호프 캠퍼스에 위치한다. 화학, 물리학 등 이공계 연구 기관이 다수 존재하며, 오늘날 캠퍼스가 위치한 인근 지역은 유럽 최대 규모의 과학기술산업단지 중 하나가 되었다.
4. 학문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는 과학, 법학, 철학, 역사, 신학, 의학과 같은 전통적인 학문 분야 외에도 수많은 새로운 과학 분야를 포괄하도록 발전했다. 설립자인 빌헬름의 동생인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새로운 학문을 장려했다. 19세기 후반부에 현대적인 연구 시설이 건설되면서 자연 과학 교육이 발전했다. 아우구스트 빌헬름 호프만(화학자), 헤르만 폰 헬름홀츠(물리학자), 에른스트 에두아르트 쿠머, 레오폴트 크로네커,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수학자들), 요하네스 페터 뮐러, 에밀 뒤부아-레이몽, 알브레히트 폰 그라페, 루돌프 피르호, 로베르트 코흐(의사들)와 같은 유명한 연구자들이 베를린 대학교의 과학적 명성에 기여했다.
확장 기간 동안, 베를린 대학교는 베를린의 다른 이전의 독립적인 대학들을 점진적으로 통합했다. 예를 들어, 샤리테, 펩피니에르, 콜레기움 메디코-키르르기쿰이 있다. 1710년, 프리드리히 1세 국왕은 도시 관문에 흑사병을 위한 검역소를 건설했는데, 1727년 "병사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에 의해 "Es soll das Haus die Charité heißen"(샤리테[프랑스어로 '자선'을 의미함]라고 불리게 될 것이다)로 개명되었다. 1829년, 이 장소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의 의학 캠퍼스가 되었고, 1927년 더 현대적인 대학 병원이 건설될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했다.
베를린 대학교는 1810년에 자연사 컬렉션을 시작했는데, 1889년에는 별도의 건물이 필요하게 되어 Museum für Naturkunde이 되었다. 1790년에 설립되어 대학교에 흡수된 기존의 티에라르츠나이 학교는 1934년 수의학 학부의 기반을 형성했다. 또한 1881년에 설립된 (Landwirtschaftliche Hochschule Berlin)는 대학교의 농업 학부와 제휴했다.
1870년 8월, 프랑스와의 전쟁 직전에 행한 연설에서 에밀 뒤부아-레이몽은 "국왕궁 맞은편에 위치한 베를린 대학교는 우리의 설립 행위에 따라 호엔촐레른가의 지적인 근위대(das geistige Leibregiment des Hauses Hohenzollern)입니다."라고 선언했다.[22]
1887년, 오토 폰 비스마르크 총리는 당시 독일 식민 제국의 일부였던 카메룬(이전의 카메룬)에 파견될 공무원들을 준비시키기 위해 Seminar für Orientalische Sprachen|SOSde(일반적으로 영어로는 오리엔탈 세미나로 알려짐)를 설립했다.[23][24] 다양한 아시아 언어가 그곳에서 가르쳐졌고, 1890년에는 법학, 철학, 의학 및 물리 과학, 신학(선교사가 되기 위한 훈련의 일환으로)을 포함한 다양한 학부에 속한 115명의 학생들이 있었다.[25]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유명한 유대인 동양학자 에우겐 미트보흐는 1938년 수정의 밤 이후 런던으로 이주할 때까지 학교의 책임자였다.[26]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는 19세기에 현대 대학교의 모범적인 모델이 되었다.[27]
4. 1. 학부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는 9개의 학부로 나뉜다.[35]학부 | 학과 |
---|---|
인문학부 | |
경제경영학부 | |
인문사회과학부 | |
법학부 | |
언어·문학·인문학부 | |
생명과학부 | |
수학·자연과학부 | |
신학부 | |
샤리테 - 베를린 대학병원 |
4. 2. 대학원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는 체계적인 박사 과정을 제공한다.[41]다음은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의 대학원 목록이다.
대학원 |
---|
베를린 고대학 연구 대학원 |
베를린 사회과학 대학원 |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재생 치료 대학원 |
베를린 마음과 뇌 대학원 |
베를린 수학 대학원 |
고대 철학 대학원 |
훔볼트 대학원 |
SALSA - 아들러스호프 분석 과학 대학원 |
"첨단 재료" 대학원 |
4. 3. 중앙 연구소
- 영국학연구소 (Großbritannienzentrumde)
- 훔볼트 혁신 (연구 이전 및 분사 서비스)
-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 (Museum für Naturkundede)
- 슈파트 수목원 (Späth-Arboretumde)
4. 4. 도서관
1831년 왕립 도서관이 부족해지자 새로운 도서관이 설립되었고, 처음에는 여러 임시 장소에 위치했다. 1871년부터 1874년까지 건축가 파울 에마누엘 슈피커의 설계에 따라 도서관 건물이 건설되었다. 1910년에는 소장품이 베를린 주립 도서관 건물로 이전되었다.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동안 이 도서관은 831,934권(1930년)의 장서를 보유하여 당시 독일에서 손꼽히는 대학 도서관 중 하나였다.
1933년 나치의 책 사례 당시 대학 도서관의 장서 중 어떤 것도 파괴되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손실은 비교적 적었다. 2003년에는 자연과학 관련 서적들이 순수 자연과학에 특화된 새로 설립된 아들러스호프 캠퍼스 도서관으로 이전되었다.
2005년 주립 도서관 건물을 비워야 했기 때문에 베를린 중심부의 본관 근처에 새로운 도서관 건물이 건설되었다. "야코프와 빌헬름 그림 센터"(Jacob und Wilhelm Grimm-Zentrum, Grimm Zentrum 또는 학생들이 부르는 GZ)는 2009년에 개관했다.
총 650만 권의 장서와 9,000종의 잡지 및 학술지를 보유하고 있는 이 대학 도서관은 독일에서 가장 큰 대학 도서관 중 하나이다.
성과학 연구소의 서적들은 나치의 책 사례 당시 파괴되었고, 연구소 자체도 파괴되었다. 마그누스 히르슈펠트 재단의 조건에 따라 정부는 설립자 사후에 대학에서 연구소의 작업을 계속하기로 합의했지만, 이 조건은 무시되었다. 2001년, 대학은 에르빈 J. 헤버러가 기증한 대규모 개인 도서관으로 설립된 로베르트 코흐 연구소의 성과학 자료관을 인수했다. 이 자료관은 현재 새로운 마그누스 히르슈펠트 센터에 보관되어 있다.[48]
4. 5. 국제 교류
훔볼트 대학교는 워릭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 빈 대학교 등 여러 해외 대학과 교류 협정을 맺고 있으며, 학생들은 이들 대학에서 한 학기 또는 1년 동안 해외 연수를 할 수 있다.[58]모리 오가이, 기타사토 시바사부로 등 많은 일본 인재들이 훔볼트 대학교에서 유학했다. 훔볼트 대학교와 교류하는 일본 대학은 다음과 같다.
일본 대학 |
---|
도쿄대학교 |
교토대학교 |
와세다대학교 |
지바대학교 |
추오대학교 |
릿메이칸대학교 |
릿쿄대학교 |
호세이대학교 |
5. 조직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는 여러 학부, 센터, 연구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년 학생들은 학생 대표 기구인 학생자치회(AStA)의 역할을 하는 학생 의회(Studierendenparlamentde)를 선출한다.[42]
5. 1. 학생 의회
매년 학생들은 독일 법률에 따른 학생 대표 기구인 학생자치회(AStA)의 역할을 하는 학생 의회(Studierendenparlamentde)를 선출한다.[42]
6. 동문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는 1810년 설립 이후 수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특히, 독일 제국의 수도에 위치한 대학교로서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받아 독일 문화권을 대표하는 대학교로 성장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동문들이 많다.
분야 | 인물 |
---|---|
물리학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에르빈 슈뢰딩거, 막스 플랑크, 막스 폰 라우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생리학·의학 | 파울 에를리히, 알브레히트 코셀, 로베르트 코흐 |
화학 | 야코뷔스 헨리쿠스 판트호프, 오토 한 |
문학 | 테오도어 몸젠, 하인리히 하이네 |
지구물리학 | 알프레트 베게너 |
정치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칼 리프크네히트,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오스틴 체임벌린, 그레고어 기시 |
철학 |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요한 고틀리브 피히테, 발터 벤야민, 막스 슈티르너, 에른스트 카시러,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역사학 | 레오폴트 폰 랑케, 바르톨트 게오르크 니부어 |
음악 | 펠릭스 멘델스존 |
사회학 | 막스 베버, 게오르크 지멜 |
시민권 운동 | W. E. B. 두 보이스 |
신학 | 디트리히 본회퍼,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
국제법 | 모니카 뤼케 |
동물학/림노학 | 베네딕트 디보프스키 |
기타 | 그림 형제 |
일본에서도 모리 오가이, 기타사토 시바사부로, 다카하시 준타로, 테라다 토라히코, 히누마 신지, 미야자와 토시요시 등 일본 학계를 담당하는 인재들이 훔볼트 대학교에서 유학했다.
7. 평가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 따르면,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는 세계 120위, 독일 내 7위를 기록했다.[49] 2024년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87위, 독일 내 4위를 차지했다.[50] 세계 대학 학술 순위(ARWU)의 경우, 베를린 자유 대학교와의 노벨상 수상자 집계 관련 분쟁으로 인해 2008년 이후로 두 대학 모두 순위에 포함되지 않고 있다.[51]
2023년 QS 분야별 순위에서 훔볼트 대학교는 예술·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독일 1위를 차지했다.[52] 2024년 THE 분야별 순위에서는 예술·인문학, 법학, 심리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독일 2위를 기록했다.[53] 2023년 ARWU 분야별 순위에서는 지리학 분야에서 독일 1위를 차지했다.[54]
분야 | 세계 순위 | 국내 순위 |
---|---|---|
예술 및 인문학 | 19 | 2 |
컴퓨터 과학 | 251–300 | 18–23 |
교육학 | 66 | 4 |
법학 | 31 | 2 |
생명과학 | 83 | 8 |
물리과학 | 74 | 6 |
심리학 | 39 | 2 |
사회과학 | 42 | 2 |
독일 경제계 최고 경영진 수를 기준으로 측정했을 때, 훔볼트 대학교는 2019년 53위를 기록했다.[55] 2020년 미국 U.S. 뉴스 & 월드 리포트는 훔볼트 대학교를 세계 82위로 평가하며 8계단 상승했고, 29개 분야 중 17개 분야에서 세계 100위권에 들었다.[56]
참조
[1]
웹사이트
Man beruft eben tüchtige Männer und läßt die Universität sich allmählich encadrieren —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https://www.hu-berli[...]
2023-01-01 #Dead link date, assuming January 1st as the day is unspecified.
[2]
웹사이트
Leistungsbericht über das Jahr 2022
https://www.berlin.d[...]
Senate Chancellery of Berlin
2024-04-08
[3]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s://www.hu-berli[...]
2017-06-15
[4]
웹사이트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http://lehre.hu-berl[...]
2013-12-02
[5]
목록
List of Nobel laureates by university affiliation
[6]
웹사이트
Hausfarben der Humboldt-Universität
https://www.hu-berli[...]
2022-10-07
[7]
웹사이트
Das moderne Original der Reformuniversität
https://www.hu-berli[...]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2018-01-15
[8]
서적
Von der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zur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https://edoc.hu-berl[...]
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9]
웹사이트
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 university, Berlin, Germany
https://www.britanni[...]
2018-05-11
[10]
웹페이지
Universität unter den Linden
[11]
뉴스
Berlin's oldest university faces new challenges as it turns 200
https://www.dw.com/e[...]
2010-10-15
[12]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s://www.hu-berli[...]
2024-09-26
[13]
서적
University Research Management Meeting the Institutional Challenge: Meeting the Institutional Challenge
OECD
[14]
서적
Einstein's Mistakes: The Human Failings of Genius
W. W. Norton & Company
[15]
웹사이트
Humboldt-Universität
https://www.stadtent[...]
Landesdenkmalamt Berlin
[16]
웹사이트
Die Attikaskulpturen
https://www.hu-berli[...]
2017-02-11
[17]
웹사이트
Short History —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https://www.hu-berli[...]
2018-05-11
[18]
뉴스
200 Jahre Humboldt-Uni: Der Ort: Ein Palais Unter den Linden
https://www.zeit.de/[...]
2009-10-12
[19]
서적
Imagined Communities
Verso Books
1991
[20]
서적
Karl Marx: A Biography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21]
웹사이트
The 'Idea of a University' today
http://www.historyan[...]
2010-03-01 #Assuming the first day of the month
[22]
웹사이트
Planning, Science, and Freedom
https://mises.org/li[...]
2010-09-13
[23]
웹사이트
Nekes, Hermann Fr. Prof. Dr. (1875-1948)
http://missionaries.[...]
Griffith University
1948-10-28
[24]
서적
Diplomatic and Consular Reports. Annual Series
https://books.google[...]
[25]
간행물
Foreign Notes: School of Oriental Studies
https://books.google[...]
New England Publishing Company
[26]
뉴스
Prof. Mittwoch, Orientalist, Marks 60th Birthday in Berlin
https://www.jta.org/[...]
1936-12-06
[27]
서적
(페이지 정보 부족)
[28]
웹사이트
Book burning memorial at Bebelplatz
https://www.visitber[...]
2019-12-07
[29]
서적
The blockade breakers: the Berlin Airlift
http://worldcat.org/[...]
The History Press
2011-09-30
[30]
웹사이트
Die Umbenennung zur "Humboldt-Universität" — Presseportal
https://www.hu-berli[...]
[31]
웹사이트
Short History
https://www.hu-berli[...]
[32]
서적
A History Shared and Divided: East and West Germany since the 1970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8
[33]
서적
East German Historians since Reunification: A Discipline Transformed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7
[34]
서적
Change forces in post-communist Eastern Europe
Routledge
2003
[35]
웹사이트
Institutions and Organisation
https://www.hu-berli[...]
2024-07-09
[36]
웹사이트
Faculty of Arts and Humanities
https://www.hu-berli[...]
2024-07-09
[37]
웹사이트
Facul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ttps://www.hu-berli[...]
2024-07-09
[38]
웹사이트
Faculty of Language, Literature and Humanities
https://www.hu-berli[...]
2024-07-09
[39]
웹사이트
Faculty of Life Sciences
https://www.hu-berli[...]
2024-07-09
[40]
웹사이트
Faculty of Mathematics and Natural Sciences
https://www.hu-berli[...]
2024-07-09
[41]
웹사이트
Graduate Schools
https://www.hu-berli[...]
2024-07-09
[42]
웹사이트
StuPa
https://vertretungen[...]
2022-10-17
[43]
웹사이트
Vorläufiges amtliches Endergebnis der Wahl der Mitglieder des 30. Studierendenparlaments
https://www.refrat.h[...]
2022-10-17
[44]
웹사이트
Vorläufiges amtliches Endergebnis der Wahl der Mitglieder des 29. Studierendenparlaments
https://www.refrat.h[...]
2022-10-17
[45]
웹사이트
Vorläufiges amtliches Endergebnis der Wahl der Mitglieder des 31. Studierendenparlaments
https://www.refrat.h[...]
2023
[46]
웹사이트
Amtliches Endergebnis der Wahl der Mitglieder des 31. Studierendenparlaments
https://www.refrat.h[...]
[47]
웹사이트
Vorläufiges Endergebnis der 32. StuPa-Wahl
https://www.refrat.d[...]
2024
[48]
웹사이트
Berlin and its Sexological Heritage
http://www2.hu-berli[...]
Magnus Hirschfeld Archive for Sexology
[49]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opunive[...]
2023-07-16
[50]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imeshig[...]
2023-09-27
[51]
CiteSeerX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 Methodologies and Problems
[52]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2
https://www.topunive[...]
2023-03-23
[53]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https://www.timeshig[...]
2023-10-10
[54]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Global Ranking of Academic Subjects 2023
https://www.shanghai[...]
2023-10-10
[55]
웹사이트
An diesen Unis haben die DAX-Vorstände studiert {{!}} charly.education
https://www.charly.e[...]
2019-10-19
[56]
웹사이트
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https://www.usnews.c[...]
2020-10-21
[57]
웹사이트
ドイツの大学システムの概要
http://tokyo.daad.de[...]
[58]
서적
世界史新書 ヨーロッパの大学
至文堂
1964
[59]
서적
ドイツ哲学史1831‐1933
法政大学出版局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